반응형

전체 글 90

2021 상반기 한국관광공사(5/1) - 필기 후기

감사하게도 한국관광공사는 서류가 적부라서 모두가 필기 시험을 볼 수 있다. 막 중간고사가 끝난지 1주일이 지났을 뿐더러 프로젝트를 겸하느라 사실상 필기 준비는 전날에 얇은 요약본 본게 끝이었다.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는 말이 참 맞는 듯하다. 내가 만일 잠자는 시간을 더 줄이고 공부했다면 필기를 통과할 수 있지 않았을까? 하여튼 10시까지 서울 송파역까지 가느라 힘들었다. 자취했을 때였더라면 편하게 갔겠지만 코로나 여파로 지방에 있는 본가로 내려온지 어언 2년째. 시골이라 취준하기도 힘든 것 같다. 시험시간은 60분, 문제는 50문항. 그나마 기술직이라 NCS 기초 없이 전공100이라서 이나마도 풀 수 있었던 것 같다. 첫 필기라서 문제가 어떤 식으로 나올지 전혀 감이 안왔는데 한 번 보니 알듯하다...

면접 2021.05.07

AWS ec2 서버 탄력적 IP 할당받기

aws의 가상 서버를 사용하다보면 인스턴스를 재시작할때마다 변경되는 IP 주소때문에 귀찮음을 느낀다. 정말 감사하게도 탄력적 IP 설정을 통해 고정 IP를 활용할 수 있다. 1. AWS EC2 서버에서 인스턴스 생성 이 부분은 일전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만들어 둔 인스턴스가 있으므로 넘어간다. 혹시라도 생성방법을 모른다면 아래 글을 확인하자. 2021.03.30 - [4학년/SW validation&verification] - 00. AWS, Docker, jenkins 설치 00. AWS, Docker, jenkins 설치 1. AWS에 접속 & 회원가입 AWS Management Console (amazon.com) https://us-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console..

자기계발 2021.04.28

08. SonarQube 설치 + CTIP 환경 구성 후기

소나큐브는 정적분석도구로, pmd나 checkstyle이나 findbugs라는 도구들도 플러그인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. 다만 젠킨스, 레드마인에 비해 설치가 까다롭고 느리다는 점에서 가장 다루기 어려웠다. 처음에는 뭣도 모르고 sonarqube 7.2.1 버전을 설치했는데 힘들게 오류까지 고치고 난 후에야 pmd, checkstyle, findbugs의 버전과 호환이 안되는 버전이라는 사실을 알아버렸다. 그리고 하나의 ec2서버에서 젠킨스, 레드마인 ,소나큐브까지 다 start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build하니 서버가 먹통이 되버렸다. 공간을 swap하고 서버의 볼륨을 늘려봐도 똑같았다. 이 모든게 소나큐브가 너무 무겁다는 점에서 온 문제들이었다. 식견이 짧은 학부생..

06. Jenkins와 SonarQube 연동하기

1. ec2 서버에 소나큐브를 설치 후 아래 명령어로 실행 #root계정으로 ec2 서버에 ssh로 접속 su sonarqube cd /opt ls#소나큐브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cd sonarcube1 ls#bin파일이 있는지 확인 cd bin ls#linux-x86-64가 있는지 확인 cd linux-x86-64 ls#sonar.sh가 있는지 확인 ./sonar.sh start ./sonar.sh console 2. 소나큐브 url(http://publicIP:9000)로 접속하여 로그인 3. ec2서버에 소나큐브 스캐너 설치 결과적으로, /var/lib/jenkins/sonar-sanner-3.3.0.1492-linux/sonar-sanner-3.3.0.1492-linux 가 sonar runne..

05. Github Pull Request로 jenkins에서 빌드

원래 목표는 fork한 레포지토리에서 pull request를 날리면 즉시 젠킨스에서 자동으로 빌드하는 것이었다. 하지만 정말 몇날 며칠을 고민해도 알 수 없는 문제로 인해 빌드 주기를 설정하여 pull request 받은 내역들을 주기적으로 자동빌드하기로 했다. 1. github 관련 plugin 설치 GitHub Integration Plugin, GitHub Pull Request Builder 이 외의 것은 아마 깃허브와 젠킨스를 연동할 때 설치했었을 것이다. 2. github webhook 추가 웹훅이란 trigger 발생 시 HTTP POST payload를 웹훅에서 설정한 URL로 보내주는 서비스이다. 여기서 payload는 젠킨스 url/github-webhook/을 입력해주고 secret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