뚝딱뚝딱QA

  • 홈
  • STUDY
  • LV UP
반응형

피보나치 1

01. 재귀호출(Recursion)과 반복호출

재귀호출은 반복적으로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말한다. 가장 친근한 예시로는 수학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, 팩토리얼이나 피보나치가 있다. 재귀호출은 비선형 자료구조에 기반을 둔 알고리즘에 자주 사용이 된다. 예를 들어 tree 또는 graph의 노드 탐색이 있겠다. 재귀의 큰 특징은 종료 조건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이다. base case(최소한계)라고도 부르며 이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시스템 스택에서 에러가 발생한다.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밑에서 OS 관점에서의 재귀에 대해 설명하면서 다시 언급하겠다. 어쨋든 재귀는 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쪼개어 해결한다는 점에서 Divide and Conquer(분할정복)이라 부를 수 있다. 재귀호출은 3가지로 분류된다. 1. Linear Recursi..

간단 지식/Data Structure 2020.06.18
1
더보기
프로필사진

어제보다 똑똑한 오늘을 기록합니다.

  • 분류 전체보기 (90)
    • 간단 지식 (65)
      • Cloud (3)
      • SW validation&verification (9)
      • System Programming (10)
      • Data Structure (4)
      • web (5)
      • Database (9)
      • Deep Learning (5)
      • Java (15)
      • C (5)
    • 자기계발 (18)
    • 일상 (3)
    • 면접 (4)
반응형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공지사항

  • 공지사항

Tag

구현, 자격증, %rdx, 안드로이드 스튜디오, 공공빅데이터, %rsi, R, 후기, 강제타입변환, 자동타입변환, 젠킨스, 예제, 연동, %rdi, 오라클DB, Jenkins, movq, R언어, 텐서플로우, 딥러닝,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